Nicolas Darvas Box Theory:(니콜라스 다바스 박스 이론:)
The Nicolas Darvas box theory is a trend trading method where a breakout of price is bought and held as ranges build on top of each other. Nicolas Darvas used this process in the 1950’s to make over(고처만들다) $2.25 million in a strong bull market. He was a top touring ballroom(무도장) dancer by profession and developed his mechanical trading strategy to use buy stops and trailing stops to buy the leading growth stocks that were rising on growing volume.
Nicolas Darvas 상자 이론은 범위가 서로 위에 쌓일 때 가격의 돌파가 매수되고 유지되는 추세 거래 방법입니다. Nicolas Darvas는 1950 년대에 이 과정을 사용하여 강세장에서 225 만 달러 이상을 벌었습니다. 그는 직업별로 최고의 투어링 볼룸 댄서였으며 매수 중지와 후행 중지를 사용하여 볼륨 증가에 따라 상승하는 주요 성장 주식을 구매하는 기계 거래 전략을 개발했습니다.
Darvas would track stocks making new all time highs on increasing volume in the Barron’s news publication. He would quantify trading ranges of price support and resistance highs to draw a box around. A break above the highs would signal a new buy entry point and a break below the low in Darvas box price would trigger a stop loss and exit. A Darvas Box is considered in place as long as it doesn’t fall back and stay in the previous box. A break out signals a new possible support level for the next box in the stair step.
다르바스는 배런의 뉴스 발행물량 증가에 따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주식들을 추적할 것이다. 그는 가격 지지도와 저항력의 높은 거래 범위를 정량화하여 박스권을 끌어모으곤 했다. 최고점 이상의 휴식은 새로운 구매 진입점을 알리는 신호일 것이고, 다바스 박스 가격에서 최저점을 밑도는 휴식은 정지 손실로 이어질 것이다. 다바스 박스는 뒤로 넘어지지 않고 이전 박스에 머무르지 않는 한 제자리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브레이크아웃은 계단 스텝의 다음 박스에 대해 가능한 새로운 지원 레벨을 신호한다.
Darvas traded his box theory through telegrams with his full service brokerage firm who was located in the United States as he travelled the world dancing. He had to pay very high commision costs to trade back then which lead to more stable price action due to transaction costs. Today’s zero commissions seem to have led to more volatility and it is much more difficult for stocks to hold their Darvas Boxes as prices can move to extremes above and below the box before breaking out even in a trend. Using end of day signals can help to filter much of the intraday volatility that move prices above and below the boxes and just focus on the closing price.
춤추는 세계여행을 하고 있을 때 Darvas는 전보를 통해 자신의 상자 이론을 미국에 있는 풀 서비스 중개 회사와 교환하였다 . 그는 되거래를 위해 매우 높은 수수료를 지불해야했고, 이는 거래 비용으로 인해 더 안정적인 가격 행동으로 이어졌습니다. 오늘날의 제로 커미션은 더 많은 변동성을 가져온 것으로 보이며, 가격이 추세 속에서도 급변화하기 전에 박스 위 아래로 극단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주식이 Darvas 박스를 유지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렵습니다. 일과 종료 신호를 사용하면 가격을 상자 위 아래로 이동하고 종가에만 집중하는 일중 변동성의 대부분을 필터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Nicolas Darvas was one of the first trend followers in history to focus on price action versus fundamentals, predictions, or opinions. He also was one of the very first mechanical system traders that used buy stops and trailing stops to make his decisions for him as he slept through most of the trading days and didn’t look at the market intraday only at the end of the day.
니콜라스 다르바스는 펀더멘털, 예측, 의견 등에 비하여 가격행동에 초점을 맞춘 역사상 최초의 트렌드 추종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또한 그가 대부분의 거래일 동안 잠을 자고 하루 종일에만 시장을 보지 않았기 때문에 구매정지와 후행정지를 이용해 그의 결정을 내린 최초의 기계시스템 거래자 중 한 명이었다.
His full story can be found in the book “How I made $2,000,000 in the Stock Market.”
Below is an example of using the Darvas Box Theory to trade the $QQQ ETF as it made trading ranges then broke out or broke down after each box.
그의 전말은 '증권시장에서 어떻게 200만 달러를 벌었는가'라는 책에서 찾을 수 있다.
아래는 다바스 박스이론을 이용하여 각 박스마다 거래 범위를 만들다가 깨지거나 고장 나면서 $QQQQ ETF를 거래하는 예다바스 박스이론(Darvas Box이론)을 예로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