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ma-Arguments(페르마의 주장)
Posted by Ben Carlson
“Never argue with stupid people. They will drag you down to their level and then beat you with experience.” – Mark Twain
"바보 같은 사람들과 논쟁하지 마라. 그들은 당신을 그들의 수준으로 끌어내린 다음 경험으로 이길 것이다." – 마크 트웨인
No one knows what’s going to happen in the future, especially when it comes to the financial markets. That’s why there will always be topics up for debate.
특히 금융시장에 관한 한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아무도 모른다. 그래서 항상 토론의 주제들이 있을 것이다.
There are some people in the financial industry that look at both sides of an argument and make their decisions using realistic probabilities. The problem is you won’t hear many of this level-headed reasoning because it will get drowned out by the overconfident prognosticators (예언자)that make their forecasts with complete certainty.
금융 업계에는 논쟁의 양면을보고 현실적인 확률을 사용하여 결정을 내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문제는 이 수준 지향적인 추론을 많이 듣지 못할 것입니다. 그 이유는 완전한 확실성을 가지고 예측을 하는 과신한 예언자들에 의해 익사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These perma-bulls and perma-bears don’t like to see both sides. They have their views and nothing you say will change them. It’s always either perfection or Armageddon(아마겟돈(지구 종말에 펼쳐지는 선과 악의 대결) with these crowds when reality is usually somewhere in the middle.
So here are some perma-arguments on the markets from each side of the aisle as well as some that fall in the middle and get construed(파악하다) in a way that fits with either agenda depending on the context.(문맥 즉 상황에 따라)
이런 퍼마불과 퍼마 베어는 양쪽을 모두 보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들은 그들의 관점을 가지고 있고 당신이 말하는 어떤 것도 그들을 변화시키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현실이 보통 중간 어딘가에 있을 때 항상 완벽하거나 아니면 아마겟돈이다.
자, 여기 각 통로 측면으로부터 시장에 대한 몇 가지 영구적인 논쟁과 중간에서 떨어져서 상황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의제에 적합한 방식으로 해석되는 것들이 있다.
Perma-Bull Arguments:(페르마 불의 주장)
Cash is on the sidelines.
현금은 방관하고 있다.
Forward P/E ratios are low.
전진 P/E 비율이 낮다.
Low interest rates.
저금리.
The Fed Model.
연준 모델.
Stocks are down? Buy the dip.
주가가 떨어졌다고? 딥을 사다.
We see this as a buying opportunity.
우리는 이것을 구매 기회로 본다.
We’re cautiously optimistic.
우리는 조심스럽게 낙관적이다.
It’s a second half story.
두 번째 이야기야.
Sure the market is a bit stretched here but we think the companies we own are extremely undervalued.
물론 시장은 여기서 약간 확장되어 있지만 우리는 우리가 소유한 회사들이 극도로 저평가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Perma-Bear Arguments:(페르마 베의 주장)
Anything from the latest Hussman weekly commentary(해설).
최근 후스만 주간 논평에서 나온 것 아무거나.
CAPE ratios are above average.
설비 투자 비율은 평균 이상이다.
CAPE(capital expenditure)
자본적지출
(資本的支出, capital expenditure)
자산적 지출이라고도 한다. 고정자산의 내용연수를 연장시키거나 자산의 가치를 증가시키는 지출을 의미한다. 이것은 당기에 전부 비용으로 되지 않고, 다음 회계년도 또는 그 후까지 잔류되어 고정자산의 원가를 구성하게 된다.
Marc Faber’s latest crash call.
마크 파버의 최근 크래시 콜.
Did you read the latest from Zero Hedge?
Zero Hedge의 최신판 읽어보셨어요?
The financial system is built on trust and once that trust is gone it’s over.
금융 시스템은 신뢰에 기반을 두고 있고 신뢰는 일단 사라지면 끝난다.
Our crippling(불구로 만들다) government debt obligations.
우리의 무력한 정부 부채 의무.
Have you seen the long-term stock chart on an inflation or gold-adjusted basis?
인플레이션이나 금 조정 기준의 장기 주가 차트를 본 적이 있는가?
Did you see how much gold the Chinese government is buying?
중국 정부가 금을 얼마나 사는지 봤어?
Have you seen this chart that looks exactly like 1929 or 1987?
1929년이나 1987년처럼 생긴 이 차트를 본 적이 있는가?
The market always crashes eventually.
시장은 항상 결국 붕괴된다.
Stocks for the long run? What about Greece, Japan and 1966-1982?
장기적으로는 주식? 그리스, 일본 그리고 1966-1982년은?
Hyperinflation is coming.
초인플레이션이 오고 있다.
Perma-Confirmation Bias Arguments:(영구 확인 편향 주장:)
Oil prices are up.
Bulls: The economy is doing better.
Bears: Consumers have less discretionary spending.
Oil prices are down.
유가가 올랐다.
Bulls: Consumers get a boost in their pocketbook.
불스:소비자는 자신의 수첩에서 힘을 얻습니다.
Bears: The economy is doing worse.
베아스: 경재가 악화되고 있다
Economic growth is stagnating.
경제성장은 정체되고 있다
Bulls: Expectations are low.
불:기대가 낮다
Bears: There’s a huge disconnect between Wall Street and main street.
베어스: 월 스트리트와 메인 스트리트 사이에는 엄청난 단절이 있어.
Economic growth is picking up.(들어올리다)
경제 성장이 회복되고 있다.
Bulls: Company profits should increase.
불스: 회사 수익이 증가해야 해.
Bears: The stock market is not the economy.
베어스=증시는 경제가 아니다.
The Fed and QE.
FBI와 QE.(연준과 통화량)
양적완화
[ 量的緩和 , Quantitative Easing ; QE ]
양적완화란 정책금리 인하를 통한 통화 정책이 한계에 부딪혔을 때, 중앙은행이 통화를 시중에 직접 공급함으로써 경기 위축의 방어 및 신용경색을 해소하고자 하는 비전통적인 통화 정책을 말한다. 시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할 경우 중앙은행은 주로 정책금리 인하를 통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지만, 정책금리가 제로에 근접하여 더 이상 인하할 수 없음에도 시중의 자금경색 현상이 지속되고, 경기 하강이 멈추지 않는 등 금리정책이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때, 중앙은행은 직접 장기물 국채를 매입해 금융기관에 유동성을 공급한다. 중앙은행이 양적완화 정책을 통해 장기 국채를 매입하면 장기 국채를 보유한 금융기관에 직접 유동성이 공급되어, 이론적으로는 해당 금융기관이 대출을 확대할 수 있고, 국채를 기준으로 한 여타 주요 실세금리가 인하되어 시중에 자금조달 비용이 낮아져 유동성 함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하지만 채권시장에 갑작스럽게 유입되는 유동성으로 인해 채권시장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통화가치의 약세와 함께 외국인 투자의 위축, 인플레이션 유발 등의 부작용이 따를 수 있으며, 경제 여건이 양호한 신흥국으로 자금의 유입이 촉진돼 신흥국의 자산 및 통화가치 상승 등의 거품을 유발하는 부작용도 있다.
Bulls: Don’t fight the Fed.
불스: 연준과 싸우지 마
Bears: You can’t fight debt with more debt.
곰: 더 많은 빚으러서 빚을 물리칠 수 없어.(싸울 수 없다)
Demographics.
인구통계학
Bulls: The Millennials are coming in hoards.(비축하다)
Bulls: 밀레 니얼 세대가 쌓여오고 있습니다.
Bears: The Baby Boomers are going to destroy the stock market when they retire.
베어스=베이비붐 세대는 은퇴하면 증시를 무너뜨릴 것이다.
Market sentiment is bullish.
시장 심리가 강세다.
Bulls: Follow the trend.
불스: 추세를 따르라.
Bears: The crowd is always wrong.
곰: 군중은 항상 틀려.
Market sentiment is bearish.
시장심리는 약세이다
Bulls: Mom and pop are always wrong.
Bulls: 엄마와 아빠는 항상 틀렸어.
Bears: Stock up on canned food and gold, the system is finally going down.
곰: 통조림과 금을 비축해두면, 시스템이 마침내 무너질 거야.
As always, remember that the majority of the arguments you hear (mine included) have a strong case of confirmation bias. Do your own homework when making any investment-related decisions and don’t blindly follow anyone’s advice just because their argument sounds intelligent and lines up with (일치하다)your current investment posture(자세).
항상 그렇듯이, 당신이 듣는 대부분의 주장들(나의 주장 포함)은 확인 편향의 강한 경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 투자와 관련된 결정을 내릴 때 자신의 숙제를 하고 그들의 주장이 지능적으로 들리고 현재의 투자 자세와 일치한다고 해서 누구의 충고를 맹목적으로 따르지 말라.
'거래기술에 관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ding Books with Backtesting Results(트레이더들이 손실로부터 회복하는 방법:) (0) | 2020.11.11 |
---|---|
How Traders Rebound From Losses:(트레이더들이 손실로부터 회복하는 방법) (0) | 2020.11.11 |
Why Staying Calm Gives You An Edge Trading(왜 침착하면 거래에 유리해지는가 ) (0) | 2020.11.10 |
Magic of Compounding Returns:(복리의 마법) (0) | 2020.11.09 |
Bearish Butterfly Pattern Explained(하락성의 나비패턴 설명) (0) | 2020.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