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BIG trades are a BAD idea:(빅 트레이드가 나쁜 아이디어인 이유:)
There is one huge difference between the winners and the losers in the market. New traders tend to go ‘all in’ on trades they are just sure will be winners. If a new trader wants to be around (곁에 있다)long enough to be a rich trader they better manage their risk per trade.
시장에서 승자와 패자 사이에는 하나의 커다란 차이가 있다. 새로운 거래자들은 그들이 승자가 될 것이라고 확신하는 거래에 '올인'하는 경향이 있다. 만약 새로운 거래자가 부유한 거래자가 되기 위해 충분히 오래 머무르기를 원한다면, 그들은 거래당 그들의 위험을 더 잘 관리한다.
Here is a great example from teacher and trader Van Tharp, in this great example he shows the real danger of the risk of ruin to traders in a way they can really understand.
여기 교사이자 트레이더인 반 타프의 훌륭한 예가 있는데, 이 위대한 예에서 그는 거래자들이 정말로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파멸의 위기의 진짜 위험을 보여준다.
You will be ruined even with a winning trading system if you bet too much per trade.
To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risk management, Van Tharp has participants play (플레이 하게 시키다)a trading simulation game
거래 건당 너무 많은 돈을 걸면 이기는 거래 시스템으로도 망한다.
위험 관리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반 타프는 참가자들에게 거래 시뮬레이션 게임을 하게 한다.
Van simulates 50 trades by pulling a marble out of a bag 50 times.
밴은 가방에서 대리석을 50번 꺼내어 50개의 트레이드를 모의 실험을 하다.
Each marble represents either a winning or losing trade.
각각의 대리석들은 승패를 가르는 거래를 나타낸다
.
You simply bet on whether he’s going to pull out a winner or a loser before he pulls it out.
너는 그가 그것을 뽑기 전에 승자를 뽑을 것인지 아니면 패자를 뽑을 것인지에 대해 내기를 한다.
60% of the marbles are winners, so if everyone were to simply bet the same amount of trading capital on every trade, they’d be highly likely to come out a winner. He gives them a positive expectancy model in the form of a bag of marbles.
대리석 60%가 승자니까 그래서 모든 거래에 똑같은 양의 거래 자본을 걸면 승자가 나올 확률이 높아. 그는 그들에게 구슬 주머니 형태의 긍정적인 기대 모델을 준다.
But everyone doesn’t come out a winner, because they bet inconsistently on each trade.
그러나 모든 사람이 승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각 거래에 대해 일관성이 없이 베팅하기 때문이다.
Surprisingly, when Van Tharp plays the game, only a 3rd of the people in the room are winners. (This is even with the odds in their favor, trading is much more difficult with the odds being against most discretionary traders due to the counter intuitive nature of price movements). Also, out of the other two-thirds that lost money, half of them lost it all, they were ruined– in a game with a positive expectancy model, the odds were in their favor, yet they could not capitalize on (이용하다)this due to their inability to manage the risk of ruin. This can easily happen when traders do not manage risk and trade based on feelings and emotions.
놀랍게도 반 타프가 게임을 할 때, 그 방에 있는 사람들 중 3분의 1만이 승리자다.(이것은 그들에게 유리한 확률에도 불구하고, 가격 이동의 반직관적인 성격 때문에 대부분의 임의의 거래자들과의 다른 승산으로 거래는 훨씬 더 어렵다). 또한, 돈을 잃은 나머지 3분의 2 중 절반은 돈을 다 잃었고, 그들은 다 망했다 – 긍정적인 기대 모델을 가진 게임에서, 승산은 그들에게 유리했다아직은, 그들은 파멸의 위험을 관리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할 수 없었다. 거래상들이 감정과 감정을 바탕으로 위험과 거래를 관리하지 않을 때 이런 일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Everyone began with the same amount of money, but no two individuals in the room ended with the same amount of money (except those that went bankrupt at zero dollars). This all goes to show that the question, “How much capital do I risk on each trade?” is more important than the more fun questions, “What stock do I trade and where do I enter?”
모두가 같은 금액으로 시작했지만, 방 안에 있던 두 사람이 같은 금액(0달러에 파산한 사람은 제외)으로 끝나는 경우는 없었다. 이 모든 것은 "매 거래마다 얼마나 많은 자본을 투자하느냐"는 질문이 "어떤 주식을 거래하고 어디에 들어가는가"라는 더 재미있는 질문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Van Tharp had two special marbles in the bag to keep things interesting. one was a 10x winner – meaning if you bet $5,000 out of the initial (imaginary) $100,000 you were given to start with, you’d make 10 times your money on that bet, for a profit of $50,000. There was also a 5x loser in the hat. So if you bet $5,000 when Van pulled the 5x loser, you’d lose $25,000. This was a great addition to the game to account for the occasional ‘black swan’ event that happens in the markets when stop losses and position sizing fail to protect you from a gap move against you are a move outside the bell curve (a fat tail).
반 타프는 흥미로운 일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방 안에 두 개의 특별한 구슬을 가지고 있었다. 하나는 10배 당첨자였습니다. 즉, 처음 시직하기 위하여 주어진10만 달러 중 5천 달러를 걸면 5만 달러의 이익을 위해 그 내기에 10배의 돈을 벌게 된다는 겁니다. 모자에도 5배 패자가 있었다. 그래서 밴이 5배 패자를 뽑았을 때 5천 달러를 걸면 2만 5천 달러를 잃게 되는 겁니다. 이는 스톱 손실과 포지션 사이징이 벨컵(뚱뚱한 꼬리)외부의 이동과 거꾸로 이동 갭으로부터 당신을 보호하지 못할 때 시장에서 때때로 일어나는 '블랙 스완' 사건을 설명하기 위한 게임에 엄청난 추가였다
Consider the Gambler’s Fallacy.
도박꾼의 오류를 생각해 보십시오.
A simple coin toss with 50/50 odds. If a regular coin came up heads nine times in a row, what is the chance it would come up heads (앞면)on the next toss? Pretty slim, right? Think about it – what are the chances that a coin would land on heads 10 straight times? It’s bound to be tails(뒷면) on the next toss, no?
간단한 동전은 50/50의 확률로 던져진다. 만약 일반 동전이 9번 연속 헤딩으로 나온다면 다음 토스에서는 헤딩으로 나올 확률이 얼마나 될까? 꽤 날씬하지? 생각해 보십시오. 동전이 10번 연속 머리에 떨어질 가능성은 얼마나 되십니까? 다음 번 토스에서는 꼬리가 나올 거야, 안 그래?
Actually, the odds are 50/50 – exactly the same as the first coin toss. The coin has no memory of where it landed last time around. Each toss is unique.
사실, 확률은 50/50으로, 첫 번째 동전 던지기와 정확히 같다. 그 동전은 지난번에 어디에 착륙했는지에 대한 기억이 없다. 각각의 토스는 독특하다.
This same idea – that each individual outcome is unique – applies to traders as well as players of the marble game “My last three bets were wrong, therefore chances are I’ll be right on this one.” This thinking is the Gambler’s Fallacy. If you go with your initial feeling and ignore the Gambler’s Fallacy in your trading, chances are, you could end up broke, just like many of the players of Van’s game.
각각의 개별적인 결과가 독특하다는 이 같은 생각은 대리석 게임의 참가자들뿐만 아니라 트레이더들에게도 적용된다. "나의 마지막 세 번의 베팅은 틀렸기 때문에, 이 게임에서 내가 옳을 가능성이 있다." 이런 생각은 도박꾼의 오류다. 만약 당신이 당신의 첫 느낌으로 가고 당신의 거래에서 갬블러의 오류를 무시한다면, 당신은 밴의 게임의 많은 선수들처럼 파산할 가능성이 있다.
After all, in Van’s game you were practically guaranteed to win if you simply managed the risk and position sized correctly, but what are your guarantees in the stock market? There are none.
How did traders go broke in a game they were guaranteed to win? They didn’t understand the impact of “draw downs” and the “risk of ruin”
결국 밴의 게임에서는 단순히 리스크와 포지션만 정확하게 관리하면 사실상 승리가 보장된 셈인데, 주식시장에서 보장은 어떤 겁니까? 없다.
어떻게 트레이더들이 그들이 이길 것이라고 보증된 게임에서 파산했을까? 그들은 "인하"와 "폐허의 위험"의 영향을 이해하지 못했다.
Let’s say that, after a streak of losers, you had $50,000 left out of your original $100,000. And let’s say you wanted to lay down (내려놓다)a big bet to try and catch up with the rest of the crowd – say $10,000?
연이은 패배자 끝에 원래 10만 달러 중 5만 달러가 남았다고 하자. 그리고 다른 사람들을 따라잡기 위해 큰 내기를 하고 싶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1만 달러?
You may not realize it, but due to the rules of the game, you run the risk of (위험을 무릎쓰다)getting wiped out(닦아 없애다). Let’s say that Van pulls the one 5x loser marble out of the bag, then you’re wiped out(닦아 없애다) instantly. If you don’t fully understand what you have at risk, you will eventually “blow up” your account.
깨닫지 못할 수도 있지만, 게임의 규칙 때문에, 당신은 소실될 위험을 무릅쓴다. 밴이 5배짜리 루저 대리석을 가방에서 꺼낸 다음, 즉시 전멸한다고 하자. 만약 당신이 위험에 처한 것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면, 당신은 결국 당신의 계정을 "폭발"하게 될 것이다.
Accounts do not go back up as fast as they go down. Lose 1% of your total trading capital and you only need to get back 1%. Lose 10% and you need a little over 11% to get back to even. If you are down 20% you have to make a 25% return to get back to even. If your account falls by 25% this means that you will be faced with the epic challenge to earn 33% to get back to where you started. If you’re willing to allow your account a 50% draw down, you’ve got to earn 100% to get back to where you started.
회계는 내려가는 만큼 빨리 올라가지 않는다. 전체 거래 자본의 1%를 잃고 1%만 돌려받으면 된다. 10%를 잃고 메꾸기 위하여는 11%를 조금 넘는 것이 필요하다. 20%를 아래이면 25%를 돌려받아야 반반이다. 만약 당신의 계정이 25% 하락한다면, 이것은 당신이 33%를 벌어서 당신이 시작했던 곳으로 돌아가야 하는 서사시적인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좌의 50%를 줄이려면 100%를 벌어야 시작했던 곳으로 돌아갈 수 있다.
How long does it take you to double you trading account? And if you go ‘all in” and your trading account falls 90%, it has to rise 900% to get you back to where you started. That is the mathematical problem with losing your trading capital. Your trading capital will take the elevator down when you lose but it takes a steep set of stairs back up since you now have much less capital to work with.
거래 계좌를 두 배로 늘리려면 얼마나 걸리니? 그리고 '올인(all in)'을 했는데 거래 계좌가 90% 하락하면 900% 상승해야 다시 시작했던 곳으로 돌아갈 수 있다. 그것이 당신의 거래자본을 잃는 수학적인 문제야. 당신이 졌을 때 당신의 거래 자본은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갈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일할 자본이 훨씬 적기 때문에 가파른 계단을 다시 올라가야 한다.
If you limit your total capital risked to 1% per trade, you will rarely have to deal with draw downs of greater than 10%-20% worst case scenarios depending on your historical winning percentage. This will give you a great advantage and edge over other traders in your likelihood of long term success.
Protecting you capital is job #1. You do this job right and your second job of building and keeping capital will not be so hard.
만약 당신이 위험을 무릅쓴 총 자본을 거래당 1%로 제한한다면, 당신은 당신의 역사적 승률에 따라 10%-20% 이상의 최악의 경우 시나리오의 하락을 다룰 필요가 거의 없다. 이것은 장기적인 성공의 가능성에서 다른 거래자들에 비해 당신에게 큰 이점과 우위를 줄 것이다.
당신의 자본을 보호하는 것이 #1 일이다. 이 일을 제대로 하면 자본을 쌓고 유지하는 두 번째 일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거래기술에 관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at Are The Best Technical Indicators?(최고의 기술 지표는 무엇인가?) (0) | 2020.04.26 |
---|---|
The Ray Dalio All Weather Portfolio(The Ray Dalio 모든 날씨 포트폴리오) (0) | 2020.04.26 |
Investing vs. Trading: What’s the Difference?(투자 vs. 거래: 차이점이 뭐야? |) (0) | 2020.04.25 |
Stop Loss vs Stop Limit(중지 손실 대 중지 제한:) (0) | 2020.04.24 |
Best Investing Podcasts in 2020(2020년의 가장 좋은투자 팟케스트) (0) | 2020.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