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기술에 관한 정보

10 Bad Habits of Unprofitable Traders:(수익성이 없는 상인들의 10가지 나쁜 습관:)

효성공인 2020. 10. 21. 12:35

10 Bad Habits of Unprofitable Traders:(수익성이 없는 상인들의 10가지 나쁜 습관:)

 

They trade too much. The edge that small traders have over institutions, is that they can pick trades carefully and only trade the best trends and entries. The less they trade, the more money they make, because being picky(까다로운) gives traders an edge.

그들은 너무 많이 거래한다. 소규모 무역업자들이 기관보다 가지고 있는 장점은 그들이 신중하게 무역을 선택할 수 있고 최고의 트렌드와 엔트리만을 거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까다롭게 굴면 거래량이 적을수록 돈을 더 많이 벌기 때문이다.

Unprofitable traders tend to be trend fighters, always wanting to try to call tops and bottoms. They eventually will be right, but their account will likely be too small by then to really profit from the reversal. Money is made by going with the flow of the river, not paddling upstream against it.

수익성이 없는 트레이더들은 항상 최고와 최저를 부르기를 원하는 트렌드 파이터인 경향이 있다. 그들이 결국 옳을 것이지만, 그들의 계좌는 그 때쯤이면 너무 작아서 반전의 진정한 이익을 얻을 수 없을 것 같다. 돈은 강을 거슬러 상류로 노를 젓는 것이 아니라 강의 흐름과 함께 가는 것으로 만들어진다.

Taking small profits quickly and letting losing trades run in the hopes of a bounce back, is a sure path to failure. Profitable traders understand their risk/reward ratio; big wins and small losses. Being quick to take profits while allowing losses to grow, is a sure way to blow up your trading account.

작은 이익을 빨리 챙기고 거래에서 손해를 보는 것을 회복의 희망으로 하는 것은 반드시 실패하는 길이다. 수익성 있는 트레이더들은 그들의 위험/배상 비율, 즉 큰 승리와 작은 손실을 이해한다. 손실은 늘리되 이익은 빨리 챙기는 것이 거래 계좌를 폭파하는 확실한 방법이다.

Wanting to be right more than wanting to make money will be a very expensive lesson. A trader who doesn’t want to take losses will most certainly balk at (망설이다)reversing his position because it signifies personal failure. A profitable trader is not afraid to get on the right side of the market to start making money.

돈을 벌기보다 더 옳고자하는 것은 매우 값비싼 교훈이 될 것입니다. 손실을 원하지 않는 트레이더는 개인적인 실패를 의미하기 때문에 자신의 포지션을 바꾸는 것을 꺼릴 것입니다. 수익성있는 거래자는 돈을 벌기 위해 시장의  옳은 쪽에 있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Unprofitable traders trade too big, and risk too much to make too little. The biggest key to profitability is to avoid big losses. Your wins can be as big as you like, but the losses must be limited.

수익성이없는 거래자들은 너무 큰 거래를하고 너무 적게 벌기에는 너무 많은 위험을 감수합니다. 수익성의 가장 큰 열쇠는 큰 손실을 피하는 것입니다. 당신의 승리는 당신이 원하는만큼 클 수 있지만, 손실은 제한되어야합니다.

Unprofitable traders watch CNBC for trading ideas.

수익성이 없는 트레이더들은 CNBC에서 아이디어를 거래하는 것을 지켜본다.

Unprofitable traders want stock picks, while profitable traders want to develop trading plans and systems.

수익성이 없는 트레이더들은 주식선택을 원하는 반면 수익성 있는 트레이더들은 거래 계획과 시스템을 개발하기를 원한다.

Unprofitable traders think trading is about being right. Profitable traders know that profitability is about admitting you are wrong quickly, and being right as long as possible.

수익성이없는 거래자들은 거래가 옳다고 생각합니다. 수익성있는 거래자들은 수익성이 당신이 틀렸다는 것을 빨리 인정하고 가능한 한 오랫동안 옳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Unprofitable traders don’t do their homework because they think there is a quick and easy route to trading success.

수익성이 없는 상인들은 성공을 거래하는 데 빠르고 쉬운 길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숙제를 하지 않는다.

Unprofitable traders #1 question is how much they can make if they are right, while the profitable traders #1 concern is how much they can lose if wrong.

수익성이 없는 거래자 #1 의문은 맞으면 얼마를 벌 수 있느냐 하는 것이고, 수익성 있는 거래자 #1 의문은 틀리면 얼마나 손해를 볼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Profitability is about admitting you are wrong quickly, and being right as long as possible

수익성은 빨리 잘못을 인정하고, 가능한 한 오래 옳게 되는 것이다.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무료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에서

 

CNBC is an American pay television business news channel that is owned by NBC Universal News Group, a division of NBC Universal, with both being ultimately owned by Comcast. Headquartered in Englewood Cliffs, New Jersey,[1] the network primarily carries business day coverage of U.S. and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following the end of the business day and on non-trading days, CNBC primarily carries financial and business-themed documentaries and reality shows.

CNBC는 NBCUniversal의 사단법인 NBCUniversal News Group이 소유하고 있는 미국의 유료 텔레비전 비즈니스 뉴스 채널로, 둘 다 궁극적으로 컴캐스트가 소유하고 있다. 뉴저지 주 엥글우드 클리프스에 본사를 둔 이 네트워크는 주로 미국과 국제 금융 시장의 영업일 커버리지를 담당하고 있으며, 영업일이 종료된 후와 거래가 없는 날에는 CNBC가 주로 금융 및 비즈니스 테마 다큐멘터리와 리얼리티 쇼를 취급한다.

CNBC was originally established on April 17, 1989 as a joint venture between NBC and Cablevision as the Consumer News and Business Channel.[2] Two years later, in 1991, the network acquired its main competitor, the Financial News Network, a move which expanded both its distribution and its workforce. Cablevision subsequently sold its stake to NBC, giving NBC sole ownership. As of February 2015, CNBC is available to approximately 93,623,000 pay television households (80.4% of households with television) in the United States.[3] In 2007, the network was ranked as the 19th most valuable cable channel in the United States, worth roughly $4 billion.[4]

CNBC는 원래 1989년 4월 17일 NBC와 케이블비전(Cablevision)이 공동으로 컨슈머 뉴스와 비즈니스 채널로 설립되었다.[2] 2년 후인 1991년, 이 네트워크는 주요 경쟁사인 파이낸셜 뉴스 네트워크를 인수하여 유통과 인력을 모두 확대하였다. 케이블비전은 이후 NBC에 지분을 매각해 NBC의 단독 소유권을 부여했다. CNBC는 2015년 2월 현재 미국의 약 9362만3천 유료 텔레비젼 가구(텔레비전 보유 가구의 80.4%)가 이용할 수 있다.[3] 2007년, 이 네트워크는 약 40억 달러의 가치가 있는 미국에서 19번째로 가치 있는 케이블 채널로 선정되었다.[4]

In addition to the domestic U.S. feed, various localized versions of CNBC also operate, serving different regions and countries. NBC Universal is the owner, or a minority stakeholder, in many of these versions.[5][6]

미국 국내 피드 외에도 CNBC의 다양한 현지화 된 버전이 작동하여 다양한 지역과 국가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NBC Universal은 이러한 많은 버전의 소유자 또는 소수 이해 관계자입니다.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