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bonacci Retracements(피보나치 역추적)
Introduction(서론)
Fibonacci Retracements are ratios used to identify potential reversal levels. These ratios are found in the Fibonacci sequence. The most popular Fibonacci Retracements are 61.8% and 38.2%. Note that 38.2% is often rounded to (반올림하다)38% and 61.8 is rounded to 62%. After an advance, chartists apply Fibonacci ratios to define retracement levels and forecast the extent of a correction or pullback. Fibonacci Retracements can also be applied after a decline to forecast the length of a counter-trend bounce. These retracements can be combined with other indicators and price patterns to create an overall strategy.
피보나치 재추적률은 잠재적 역전 수준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비율이다. 이 비율은 피보나치 수열에서 찾을 수 있다. 가장 인기 있는 피보나치 재시도는 61.8%, 38.2%이다. 38.2%는 38%로 반올림되고 61.8%는 62%로 반올림되는 경우가 많다. 진전된 후, 도표학자들은 피보나치 비율을 적용하여 재역전 수준을 정의하고 수정이나 후퇴의 정도를 예측한다. 피보나치 재추적도 카운터 트렌드 바운스의 길이를 예측하기 위해 감소 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탐구는 전체적인 전략을 만들기 위하여 다른 지표와 가격 패턴과 결합한다
The Sequence and Ratios
순서와 비율
This article is not designed to delve(파혜치다) too deep into the mathematical properties behind the Fibonacci sequence and Golden Ratio. There are plenty of other sources for this detail. A few basics, however, will provide the necessary background for the most popular numbers. Leonardo Pisano Bogollo (1170-1250), an Italian mathematician from Pisa, is credited with introducing the Fibonacci sequence to the West. It is as follows: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이 글은 피보나치 수열과 황금 비율 뒤에 숨겨진 수학적인 성질을 너무 깊이 파고들도록 고안된 것은 아니다. 이 세부사항에 대한 다른 많은 출처가 있다. 그러나 몇 가지 기본은 가장 인기 있는 숫자에 필요한 배경을 제공할 것이다. 피사의 이탈리아 수학자인 레오나르도 피사노 보골로(1170-1250)는 피보나치 수열을 서양에 도입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The sequence extends to infinity (무한대)and contains many unique mathematical properties.
After 0 and 1, each number is the sum of the two prior numbers (1+2=3, 2+3=5, 5+8=13 8+13=21 etc…).
그 순서는 무한대로 확장되며, 많은 독특한 수학적 특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0과 1 이후 각 숫자는 이전 두 번호(1+2=3, 2+3=5, 5+8=13 8+13=21 등)의 합이다.
1)A number divided by the previous number approximates 1.618 (21/13=1.6153, 34/21=1.6190, 55/34=1.6176, 89/55=1.6181). The approximation(근사치) nears 1.6180 as the numbers increase.
이전 숫자로 나눈 숫자는 약 1.618(21/13=1.6153, 34/21=1.6190, 55/34=1.6176, 89/55=1.6181)에 해당한다. 숫자가 증가할수록 근사치는 1.6180에 가깝다.
2)A number divided by the next highest number approximates .6180 (13/21=.6190, 21/34=.6176, 34/55=.6181, 55/89=.6179 etc….). The approximation nears .6180 as the numbers increase. This is the basis for the 61.8% retracement.
다음의 가장 높은 숫자로 나눈 숫자는 약 .6180(13/21=.6190, 21/34=.6176, 34/55=.6181, 55/89=.6179 등). 숫자가 증가할수록 근사치는 .6180에 가깝다. 이것이 61.8%의 재추적 근거다.
3)A number divided by another two places higher approximates .3820 (13/34=.382, 21/55=.3818, 34/89=.3820, 55/=144=3819 etc….). The approximation nears .3820 as the numbers increase. This is the basis for the 38.2% retracement. Also, note that 1 - .618 = .382
3)숫자를 다른 두 자리 수로 나눈 값은 약 .3820(13/34=.382, 21/55=3818, 34/89=3820, 55/=144=3819 등). 숫자가 증가할수록 근사치는 .3820에 가깝다. 이것이 38.2%의 재추적 근거다. 또한 1 - .618 = .382
4)A number divided by another three places higher approximates .2360 (13/55=.2363, 21/89=.2359, 34/144=.2361, 55/233=.2361 etc….). The approximation nears .2360 as the numbers increase. This is the basis for the 23.6% retracement.
숫자를 다른 세 자리로 나눈 값은 약 .2360(13/55=.2363, 21/89=.2359, 34/144=.2361, 55/233=.2361 등). 숫자가 증가할수록 근사치는 .2360에 가깝다. 이것이 23.6%의 재추적 근거다.
5)1.618 refers to the Golden Ratio or Golden Mean, also called Phi. The inverse(역) of 1.618 is .618. These ratios can be found throughout nature, architecture, art, and biology. In his book, Elliott Wave Principle, Robert Prechter quotes William Hoffer from the December 1975 issue of Smithsonian Magazine:
1.618은 피라고도 불리는 황금비율 또는 황금평균을 가리킨다. 1.618의 역은 .618이다. 이 비율은 자연, 건축, 미술, 생물학 전반에 걸쳐 찾아볼 수 있다. 그의 저서 엘리엇 웨이브 원칙에서 로버트 프레히터는 스미스소니언 매거진 1975년 12월호에 실린 윌리엄 호퍼의 말을 인용했다.
….the proportion of .618034 to 1 is the mathematical basis for the shape of playing cards and the Parthenon, sunflowers and snail shells, Greek vases and the spiral galaxies(은하계) of outer space. The Greeks based much of their art and architecture upon this proportion. They called it the golden mean.
Alert Zones
….618034 대 1의 비율은 카드놀이와 파르테논, 해바라기와 달팽이 껍질, 그리스 꽃병, 그리고 우주 나선은하의 형상에 대한 수학적인 기초가 된다. 그리스인들은 예술과 건축의 많은 부분을 이 비율에 기초했다. 그들은 그것을 황금 평균이라고 불렀다.
알림 영역
Retracement levels alert traders or investors of a potential trend reversal, resistance area or support area. Retracements are based on the prior move. A bounce(튐) is expected to retrace a portion of the prior decline, while a correction is expected to retrace a portion of the prior advance. Once a pullback starts, chartists can identify specific Fibonacci retracement levels for monitoring. As the correction approaches these retracements, chartists should become more alert for a potential bullish reversal. Chart 1 shows Home Depot retracing around 50% of its prior advance.
재추적 레벨은 트레이더 또는 투자자에게 잠재적인 추세 반전, 저항 영역 또는 지원 영역에 대해 경고한다. 재탐구는 선행의 움직임에 기초한다. 반올림은 이전 하락의 일부를 역추적하는 반면, 수정은 이전 하락의 일부를 역추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후퇴가 시작되면, 차트 작성자들은 모니터링을 위한 특정한 피보나치 재추적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보정이 이러한 재귀에 접근함에 따라, 도표주의자들은 잠재적인 강세 반전에 대해 더욱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도표 1은 홈디포 이전 진전의 약 50%를 재추진하는 것을 보여준다.
The inverse applies to a bounce or corrective advance after a decline. Once a bounce begins, chartists can identify specific Fibonacci retracement levels for monitoring. As the correction approaches these retracements, chartists should become more alert for a potential bearish reversal. Chart 2 shows 3M (MMM) retracing around 50% of its prior decline.
역은 하강 후 바운스 또는 수정 진전에 적용된다. 일단 반동이 시작되면, 차트 작성자들은 모니터링을 위한 특정한 피보나치 재추적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보정이 이러한 재추적에 접근함에 따라, 차티스트들은 약세 반전의 가능성에 대해 더욱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도표 2는 3M(MM)이 이전 감소의 약 50%를 역추적하는 것을 보여준다.
Keep in mind that these retracement levels are not hard reversal points. Instead, they serve as alert zones for a potential reversal. It is at this point that traders should employ other aspects of technical analysis to identify or confirm a reversal. These may include candlesticks, price patterns, momentum oscillators or moving averages.
이러한 되돌림 수준은 하드 반전 지점이 아닙니다. 대신 잠재적인 반전에 대한 경고 영역 역할을 합니다. 이 시점에서 트레이더는 반전을 식별하거나 확인하기 위해 기술적 분석의 다른 측면을 사용해야합니다. 여기에는 촛대, 가격 패턴, 모멘텀 오실레이터 또는 이동 평균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Common Retracements
공통 재추적
The Fibonacci Retracements Tool at StockCharts shows four common retracements:
23.6%, 38.2%, 50%, and 61.8%.
StockCharts의 Fibonacci 재추적 도구는 4가지 일반적인 재추적을 보여준다
23.6%, 38.2%, 50%, 그리고 61.8%
From the Fibonacci section above, it is clear that 23.6%, 38.2%, and 61.8% stem(생기다) from ratios found within the Fibonacci sequence. The 50% retracement is not based on a Fibonacci number. Instead, this number stems from Dow Theory's assertion that the Averages often retrace half their prior move.
위의 피보나치 구간에서 23.6%, 38.2%, 61.8%가 피보나치 수열 내에서 발견된 비율에서 기인하는 것이 분명하다. 50%의 재추적은 피보나치 숫자에 기초하지 않는다. 대신, 이 숫자는 평균이 종종 이전 움직임의 절반을 되짚어간다는 다우 이론의 주장에서 기인한다.
Based on depth, we can consider a 23.6% retracement to be relatively shallow(얕은). Such retracements would be appropriate for flags or short pullbacks(하락). Retracements in the 38.2%-50% range would be considered moderate. Even though deeper, the 61.8% retracement can be referred to as the golden retracement. It is, after all, based on the Golden Ratio.
깊이에 따라 23.6 % 되돌림이 상대적으로 얕다 고 간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되돌림은 플래그(신호) 또는 단기 하락에 적합합니다. 38.2 % -50 % 범위의 되돌림은 보통 수준으로 간주됩니다. 더 깊더라도 61.8 % 되돌림을 황금 되돌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황금 비율을 기반으로합니다.
Shallow retracements occur, but catching these requires a closer watch and quicker trigger finger. The examples below use daily charts covering 3-9 months. Focus will be on moderate retracements (38.2-50%) and golden retracements (61.8%). In addition, these examples will show how to combine retracements with other indicators to confirm a reversal.
얕은 재탐험(재추적)은 일어나지만, 이를 잡으려면 더 세밀한 감시와 더 빠른 방아쇠(발동) 손가락이 필요하다. 아래 예제는 3-9개월에 걸친 일일 차트를 사용한다. 중도추적(38.2~50%)과 황금 추적(61.8%)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또한 이러한 예는 역전을 확인하기 위해 역추적을 다른 지표와 결합하는 방법을 보여줄 것이다.
Moderate Retracements
중간 재추적
Chart 3 shows Target (TGT) with a correction that retraced 38% of the prior advance. This decline also formed a falling wedge, which is typical for corrective moves. The combination raised the reversal alert. Chaikin Money Flow turned positive as the stock surged in late June, but this first reversal attempt failed. Yes, there will be failures. The second reversal in mid-July was successful. Notice that TGT gapped up, broke the wedge trend line and Chaikin Money Flow turned positive (green line).
차트 3은 이전 상승의 38 %를 되돌린 수정이 있는 목표 (TGT)를 보여줍니다. 이 감소는 또한 하강 쐐기를 형성했으며, 이는 시정 움직임에 일반적입니다. 이 조합은 반전 경고를 일으켰습니다. Chaikin Money Flow는 6 월말 주가가 급등하면서 양수로 전환되었지만 첫 번째 반전 시도는 실패했습니다. 예, 실패가 있을 것입니다. 7월 중순의 두 번째 반전은 성공적이었습니다. TGT가 갭이 벌어지고 쐐기 추세선을 깨고 Chaikin Money Flow가 양수 (녹색 선)로 바뀌었습니다.
Chart 4 shows Petsmart (PETM) with a moderate 38% retracement and other signals coming together. After declining in September-October, the stock bounced back to around 28 in November. In addition to the 38% retracement, notice that broken support turned into resistance in this area. The combination served as an alert for a potential reversal. Williams %R was trading above -20% and overbought as well. Subsequent signals affirmed the reversal. First, Williams %R moved back below -20%. Second, PETM formed a rising flag and broke flag support with a sharp decline the second week of December.
차트4는 보통 38 % 되돌림과 기타 신호가 합쳐진 Petsmart (PETM)를 보여줍니다. 9 월 ~ 10 월에 하락한 후 11 월에 주가는 약 28로 반등했습니다. 38 % 되돌림 외에도 이 영역에서 깨진지 주가가 저항으로 바뀌었습니다. 이 조합은 잠재적 반전에 대한 경고 역할을했습니다. Williams % R은 -20 % 이상에서 거래되었고 과매수도 되었습니다. 후속 신호는 반전을 확인했습니다. 첫째, Williams % R은 -20 % 아래로 돌아갔습니다. 둘째, PETM은 상승 깃발을 형성하고 12 월 둘째 주에 급격한 하락으로 깃발 지지를 깨뜨렸습니다.
Golden Retracements
골든 재추적
Chart 4 shows Pfizer (PFE) bottoming near the 62% retracement level. Prior to this successful bounce, there was a failed bounce near the 50% retracement. The successful reversal occurred with a hammer on high volume and followed through(이어지다 끝까지 뻗치다) with a breakout a few days later.
차트4는 62 %되돌림 수준에 근접한 Pfizer (PFE)밑바닥을 보여줍니다. 이 성공적인 바운스 이전에는 50 % 되돌림 근처에서 실패한 바운스(뒤팀)가 있었습니다. 성공적인 반전은 대량의 해머로 발생했으며 며칠 후 탈주가 이어졌습니다.
Chart 5 shows JP Morgan (JPM) topping near the 62% retracement level. The surge to the 62% retracement was quite strong, but resistance suddenly appeared with a reversal confirmation coming from MACD (5,35,5). The red candlestick and gap down affirmed resistance near the 62% retracement. There was a two-day bounce back above 44.5, but this bounce quickly failed as MACD moved below its signal line (red dotted line).
Conclusion(결론)
Fibonacci retracements are often used to identify the end of a correction or a counter-trend bounce. Corrections and counter-trend bounces often retrace a portion of the prior move. While short 23.6% retracements do occur, the 38.2-61.8% zone covers the most possibilities (with 50% in the middle). This zone may seem big, but it is just a reversal alert zone. Other technical signals are needed to confirm a reversal. Reversals can be confirmed with candlesticks, momentum indicators, volume or chart patterns. In fact, the more confirming factors, the more robust the signal.
피보나치 재탐색은 종종 수정의 끝이나 반향 반동(counter-trend bounce)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정과 반향은 종종 이전 움직임의 일부를 되짚어 간다. 짧은 23.6%의 재추적이 발생하는 반면, 38.2~61.8% 구역은 가장 많은 가능성(중간 50% 포함)을 커버한다. 이 구역은 커 보일지 모르지만, 그것은 역전 경보 구역일 뿐이다. 반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른 기술적 신호가 필요하다. 역전은 촛대, 모멘텀 지표, 볼륨 또는 차트 패턴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실 확증요인이 많을수록 신호가 강해진다.
Using with SharpCharts
SharpChart로 사용하는 것
You can use our ChartNotes annotation tool to add Fibonacci Retracement Lines to your charts. Below, you'll find an example of a chart annotated with Fibonacci Retracement Lines.
차트에 피보나치 되돌림선을 추가하기 위하여 ChartNotes 주석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 피보나치 되돌림 선으로 주석이 달린 차트의 예를 찾을 수 있습니다.
To learn more about how to add this annotation to your charts, check out our Support
차트에 이 주석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더 배우기 위하여 우리의 지원을 확인하십시오
Center article on ChartNotes' Line Study Tools.